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드뎌 본격적인 OT시작~ 정기휴무 워크샵을 다녀와 몸살에 감기증세까지..아주 죽을 맛인 상태로 출근.드뎌 정식 OT가 시작된 셈이다. 오늘 내게 할당된 숙제(?)는 두권의 두~~~꺼운 업무지침 매뉴얼 및 그룹 정보전략 정책 읽기.두페이지 넘기기 사직하니 졸음이 쏟아진다...한권은 4시간에 걸쳐 어찌어찌 다 보긴했는데 머리속에 하얗게 아무것도 남는게 없다..쩝...어서 나머지 한권을 마저 읽어야 겠다. 나머지 한권은 그 전 책보다 얇아서 좀 빨리 끝나지 않을까 싶었는데..펼처보니.. 헉 요건 인쇄가 앞뒤페이지 모두 되어 있다.. ㅠ.ㅠ아씨~
DW | OLAP 기본 오브젝트 용어 설명 MicroStrategy공용개체 ■ 리포트리포트는 최종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데이터형식이며, 포맷(템플릿) 과 내용(필터에 의해 제한)으로 구성된다. 리포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각 오브젝트가 어느 폴더내에 존재하는 지를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프로젝트내에 어트리뷰트, 메트릭, 팩트 오브젝트가 미리 생성되어 있어야 한다. 템플릿과 필터는 보고서 생성전에 별도의 오브젝트로 정의할 수도 있고 리포트 생성시 정의할 수도 있다. ■ 필 터필터는 리포트에 포함되어야 할 데이터의 조건을 정의한다. 가령 기준월이 2002년11월인 [최근월] 필터를 리포트에 적용했다면 리포트에는 2002년11월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보여지게 된다. ■ 템플릿템플릿은 어떤 정보를 어떻게 보여주는가를 정의한다. 즉 보고서의 구..
RTE | Gartner Group의 RTE에 대한 정의 출처 :http://www.soft-power.com RTE에 관한 새로운 정의2002년 10월 1일, Gartner Group에서는 RTE란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관리 및 이행의 지연을 점진적으로 줄이기 위해 최신 정보를 사용하여 경쟁하는 기업"이라 정의하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RTE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된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토대로 Gartner Group은 2002년 10월 버전의 RTE 정의를 대폭 조정하고 업데이트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그리하여 새롭게 업데이트된 RTE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RTE는 성공과 직결된 명시적 사건이 발생하는 즉시 그 근본 원인과 사건 자체를 파악, 모니터링,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불행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며 ..
RTE | RTE란 무엇인가? 출처 :soft-power.com Real Time Enterprise! New Paradigm? RTE(Real Time Enterprise)는,기업의 내부와 외부를 포괄하여 지속적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비즈니스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련부서나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업무 지연을 극소화하고 의사결정 스피드를 극대화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한 차원 끌어올린다는 의미의 경영학적 사조를 말합니다. 따라서 시장의 변화, 고객의 요구, 조직내부의 문제 등을 신속히 인지(Monitoring)하여 분석(Analysis) 및 대처(Decision)하고 신속하게 실행(Action)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기업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Real..
전자자료교환시스템 (EDI) 출처 :이성진의 경영정보시스템1. EDI의 정의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응용분야의 한 형태로 컴퓨터를 통한 기업간 통신을 가능케 해주는 기술이다. EDI에 대한 정의는 약간씩 다르게 표현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EDI는 조직간에 교환되는 거래문서를 정형화된 양식 및 코드체계를 이용하여 컴퓨터가 처리가능한 형태로 교환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EDI를 기술적으로 정의하면 문서나 전자우편(E-Mail)처럼 사람이 판독 가능한 형태가 아닌 전자적으로 부호화(electronically coded)된 문서를 기업의 전산/통신설비로부터 거래상대방의 전산/통신설비로 전송함으로써 기업간 거래정보교환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EDI..
중역정보시스템 (EIS) 출처 :이성진의 경영정보시스템 기업내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경영계층은 전사적 목표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 최고경영층이다. 기업의 목표와 전략, 그리고 계획을 수립하는 등 기업활동의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최고경영층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바로 중역정보시스템(EIS : Executive Information System)이다. 1. 중역정보시스템의 정의기업의 중역은 기업의 전반적인 활동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행동계획을 수립한다. 즉 중역들은 현재의 경쟁상황이나 기업의 성과수준의 이해,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위기 또는 새로운 기회의 발견,..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SS)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의사결정자가 데이터나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거나 의사결정을 할때 도움을 주도록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이다. 1. 정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여러 시스템, 툴, 기술들을 포함한다. 어떤 사람들은 DSS라는 용어가 낡았고 온라인 분석프로세싱(OLAP)라는 새로운 타입으로 바뀌어 왔다고 생각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지식기반 DSS 중심의 개념으로 생각한다. 경영과학자들은 주로 '리얼 DSS'로서 최적화, 시뮬레이션 모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론적으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많은 종류의 정보시스템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만일 어떤 컴퓨터화된 시스템이 온라인 거래처리시스템(OLTP)이 아니라면 그것을 DSS라고 말하기는 힘들것이다. 또 어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PC..